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석달 전 양양 낙산해수욕장에서 땅꺼짐 사고가 발생했죠.<br><br>모래 지반에 고층 건물을 올리려고 한 터파기 공사가 원인으로 지목됐는데요. <br> <br>지금은 어떻게 변했는지 남영주 기자가 다시 가봤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편의점 천장이 힘없이 주저앉더니, 진열대와 물건이 땅 속으로 빨려 들어갑니다. <br> <br>동해안 낙산해수욕장에 있는 편의점 건물이 무너진 건 휴가철이 한창이던 지난 8월 3일. <br> <br>편의점 5m 옆에서는 지상 20층, 지하 6층 규모의 호텔 신축 공사장이 있었습니다. <br> <br>인명 피해가 없었던 게 천만 다행이었습니다. <br> <br>[인근 숙박시설 관계자] <br>"갑자기 우르르 소리와 함께 땅이 꺼지는 소리가 들렸고. 저도 여기서 자고 있었는데, 경찰관 소방관들 오셔서 손님들 다 대피시키고." <br> <br>호텔 터파기 공사현장으로 유입된 지하수를 퍼내자, 지하수가 채우고 있던 공간이 텅 비면서, 모래 지반이 무너진 게 원인으로 지목됐습니다. <br><br>땅꺼짐은 공사 시작 6개월 만인 지난해 12월부터 시작됐고, 이후 넉달 간 크고작은 땅꺼짐이 27건 발생했습니다. <br> <br>[국토안전관리원 관계자] <br>"현장을 가서 조사했었대요. 초기 현장조사 보고서에 지하수 유출로 인한 사고로 추정된다." <br> <br>땅꺼짐 사고가 났던 현장입니다. <br> <br>안전 울타리 앞에는 이렇게 긴급공사를 알리는 현수막이 걸려 있는데요. <br> <br>안쪽에선 굴착기가 흙을 나르며 지반을 보강하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.<br> <br>주변 상인들은 편의점 붕괴가 남 일 같지 않습니다. <br> <br>[오락실 사장] <br>"옛날에 다 여기가 바다를 막은 자리거든요. 이 앞까지 다 무너질까 싶어요. 그게 제일 염려되고." <br> <br>[슈퍼마켓 사장] <br>"여기 뭔 일 나려고 그러나 불안하죠. 여기 앉아 있으면 쿵 하면서 이렇게 내려앉는 느낌이 확 와요." <br> <br>주민들이 걱정하는 건, 주변 여러 곳에 대형 건설현장이 있다는 겁니다. <br> <br>땅꺼짐 사고가 난 낙산지구에서 공사가 진행 중인 건설현장은 호텔을 포함해 모두 4곳.<br><br>건설 예정인 건물도 10개가 됩니다.<br><br>대부분 20층 이상이어서 모래 지반 깊이 터파기를 해야 합니다. <br><br>토목 전문가는 해안 지반의 특성에 주목합니다.<br><br>모래 위에 고층 건물을 세우려면, 공사장 뿐만 아니라 주변부까지도 지하 안전도를 평가해야 한다는 겁니다. <br> <br>[김규한 / 가톨릭관동대 토목공학과 교수] <br>"지금 양양 전체가 어마어마한 건물들이 들어서잖아요. 터파기하는 주변만 관심을 둘 것이 아니라 해안가 주변은 침하 가능 구역이라는 전제하에 중점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." <br> <br>최근 5년간 전국 땅꺼짐 사고는 1176건. <br><br>지하 상태를 한 눈에 알 수 있도록 땅속 지도를 만들고, 지하수 분포에 대한 기초 조사가 필요한 이유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지하공간 통합지도의 완성 시점은 지난 2019년에서 올해 말로 미뤄졌고, 지하수 조사도 예산과 인력 문제로 90%만 진행됐습니다. <br> <br>[환경부 토양지하수과 관계자] <br>"(조사가 끝나는 시점도 있을까요?) 언제까지라고 특정된 건 없거든요." <br> <br>국토교통부는 양양 땅꺼짐 사고의 최종 조사결과를 모레 발표할 예정이지만, 근본 대책이 없으면 주민들의 발밑 불안은 가시지 않을 전망입니다. <br> <br>다시간다 남영주입니다. <br><br>PD : 홍주형 <br>AD : 나난현<br /><br /><br />남영주 기자 dragonball@ichannela.com